데이터뷰 object 리터럴데이터뷰는 general 리터럴이나 프론트매터에 있는 정보를 object로 받아들입니다. object 리터럴은 general 리터럴과 다르게 object에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함수처럼 어떤 값을 출력해주거나 나열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sort,filter 같은 것도 object에 쓴다면 object 리터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을 대상으로 자주 쓰는 object 리터럴을 소개할까 합니다. 사실 프론트매터로 검색하는 것에 필요성을 못 느껴 아직 써보진 않았습니다. contains()contains은 해당 단어가 있으면 True로 나타냅니다. 단, 대소문자 구분을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hello 문자가 있으면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타납니다. ..
리터럴(literal)데이터뷰는 쿼리문으로 진행됩니다. where을 쓸 때 시간 표현 기준이 필요한데 어떤 기준을 표현하는 것들을 리터럴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첫날(2024-01-01)을 데이터뷰에 표현하고 싶다면 date(soy) 와 같이 알맞는 코드를 쳐주어야 합니다. 종류General 형식LiteralDescription0013371337-200-200"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Text[[Science]]"Science"로 명명한 링크[[]]현재 파일 링크[1, 2, 3]1,2,3 리스트[[1, 2],[3, 4]]리스트 [1.2], [3,4]의 리스트{ a: 1, b: 2 }딕셔너리date(2021-07-14)날짜dur(2 days 4..
옵시디언 데이터뷰 기본문법 옵시디언을 쓰시는 분들은 제2의 뇌라고 불리는 제텔카스텐 노트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쓰실 겁니다. 제텔카스텐을 구현하면서 검색을 잘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데이터뷰를 통해서 검색이나 목록정리를 아주 잘 할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엔 데이터뷰가 굉장히 유용한 플러그인 같습니다. 기본문법 SQL을 쓰시던 분들이라면 쿼리문을 많이 해봤을텐데요. 데이터뷰도 쿼리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문법이 필요한데요. 그 중에 많이 쓰는 기본문법을 추려봤습니다. 필수 어떤 타입으로 불러올것인가 (TABLE/LIST/TASK) 가져올 내용은 무엇인가(Field) 옵션 어디서 가져올 것인가(FROM)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가(WHERE) 정렬은 어떻게 할것인가(SORT) 묶을 것인가 흩트릴것인가(G..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