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디펜스 발동 일부 프로그램은 윈도우 디펜스에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 실행을 못하게 합니다. 물론 진짜로 위험한 것도 있지만 위험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윈도우 디펜스가 옳은 건 아닙니다. 위협의 예방을 위해 프로그램 실행을 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꼭 실행시켜야 하는 프로그램이라면 해당 폴더나 실행파일을 윈도우 디펜스가 체크하지 않도록 스캐닝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제외폴더 만들기 스캐닝을 하지 않도록 하려면 제외해달라고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간단합니다. windows 보안 설정에 들어갑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에 들어갑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의 설정관리를 클릭합니다. 실시간 보호 기능이 꺼져있다면 켜주세요. 스크롤을..
데스크탑을 사용하다보니 바깥에서 컴퓨터를 켜야하는 경우가 생겨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그런게 있었네요. 그런데 국내에는 없는 것 같고 해외에만 있는 것같습니다. 이름도 모르고 해서 없는 줄 알았는데 있었네요 원격으로 조종되는 방법을 Wake-on-Lan(WoL)이라고 하는데 컴퓨터가 꺼져 있어도 네트워크를 통해 켤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게임을 스트리밍하거나 원격 데스크톱에 연결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위해 컴퓨터를 켜기 위해 방으로 걸어갈 필요가 없습니다. 심지어 밖에 나와있어도 컴퓨터 콘센트 스위치 버튼이 ON으로 되어있으면 즉, 전기가 통하고 있으면 컴퓨터를 켤 수 있습니다. 투야는 조금 다른 접근인데 IOT회사답게 전기만 흐..
Git으로 프로젝트 중이라면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올리지 말아야 하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key값이나 민감정보가 들어있는 DB파일들은 절대로 올리면 안 됩니다. 또한, Github의 무료계정은 500MB로 제한되어 있고 파일 하나당 100MB 이상이 되면 commit 오류가 발생합니다. 데이터 저장해논 DB파일은 100MB가 넘어가기 쉬워서 어짜피 올라가지도 않습니다. 그럼 DB파일 때문에 오류발생으로 인해 다른 파일들도 Github에 동기화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폴더에 .gitignore파일을 만들어 git에 올릴 파일선별을 해야합니다..gitignore 파일 만들기.gitignore 파일은 만들기 쉽습니다. vscode인 경우 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