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파이썬 qt designer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에서는 qt designer.exe 찾으면 그만이지만 리눅스는 그게 자연스러운건 아니니 터미널에서 실행을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pyqt5만 설치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안되고 몇가지를 더 설치해야합니다. terminal에서 다음의 커맨드들을 입력합니다. pip3 install pyqt5 sudo apt install python3-pyqt5 sudo apt install pyqt5-dev-tools sudo apt install qttools5-dev-tools 설치가 잘 되었다면 다음 designer 커맨드를 입력하면 GUI가 뜨게 됩니다. designer 아래 그림과 같이 qt desinger화면이 나옵니다. 이제 좀 더 편하게 코딩을 ..
셀레니움으로 크롬 드라이브를 켜보면 아래와 같이 한글이 무지막지하게 깨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쿠팡에 아무거나 들어가봤습니다) 원인은 리눅스에 한글팩이 없는 것! 한글팩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한글 설정도 해야하고요. 우분투 리눅스 한글 언어팩 설치 한글 언어팩 설치 한글 언어팩을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만약 unable to locate package 오류가 뜬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우분투] unable to locate package 해결방법 locale-gen을 통해 Locale 언어 설정 sudo locale-gen ko_KR.UTF-8 한글로 설정 dpkg-reconfigure 에서 ko_KR.UTF-8 UTF..
리눅스 한글 언어팩을 설치하라고 했더니 unable to locate package 가 떴습니다. 다른 것도 해보니 안 되더군요. 찾아보니 우분투에서는 package 형태는 못 받게 되어있는게 디폴트값인 것 같습니다. 설정을 따로 해야 합니다. 해결방법 터미널에서 /etc/apt/ 으로 이동합니다. 실수하면... 골치아파지니까 백업을 해놓고 시작합니다. cd /etc/apt/ sudo cp sources.list sources.list.back #백업 vi 로 sources.list를 켭니다. sudo vi sources.list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deb..
리눅스 계열에서 압축파일을 다루는 명령어를 정리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tar,tar.gz, zip 에 대한 명령어입니다. 압축하기 tar 명령어 옵션의 조합으로 압축을 만들라는 명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압축에 필요한 tar 명령어 옵션 -c : compress,tar 아카이브 생성(기존 아카이브 존재시 덮어쓰기) -v : 처리되는 과정 출력 -f : 파일 이름을 지정 -z : gzip으로 압축,해제 cvf 를 이용해 tar로 만들고 z를 더해 gzip 형식으로 압축이 됩니다. tar 압축 tar -cvf # Example tar -cvf test.tar folder 압축파일명은 다르게 해도 됩니다. tar.gz 압축 tar -zcvf # EXAMPLE tar -zcvf test.tar.gz folde..
우분투에서 chrome 설치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 설치 파일을 받은 후에 설치를 하면 됩니다. wget으로 파일을 받아야 하는데 파일 경로는 아래 내용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설치파일 받기 파일 버전을 따로 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아서 최신버전 파일이 받아집니다. 최신버전으로 해야 보안상 안전하므로 최신버전으로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크롬 드라이버 때문에 버전을 고집할 수 있는데 자동으로 맞춰주는 툴이 있으므로 그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크롬 드라이버를 설치없이 자동으로 맞춰주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이썬] chorme-driver 설치 안하고 사용하기 [파이썬] chorme-driver 설치 안하고 사용하기 파이썬에서 크롬 브라우저 컨트롤을 하기 원한다면 즉, chro..
CLI 환경에서 Ubuntu 버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Ubuntu 에서는 버전마다 호환가능한 패키지가 있으므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버전 확인을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에 맞는 설치방법을 할 수 있으니깐요. 그렇지만 자주 안 써서 까먹는 명령어 중에 하나이므로 아래 내용에서 Ubuntu 버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시고 자신에 맞는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etc/issue /etc/issue에는 우분투 시스템 식별 세부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cat 명령을 통해 파일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cat /etc/issue lsb_release -a 모든 버전의 Ubuntu에서 작동하는 방법으로 Linux Standard Base(LSB)정보를 보여줍니다. /etc/issue 보다는 자세한 정보..
윈도우 11 업데이트가 가능해졌습니다. 윈도우10에서 윈도우 11로 옮기면 호환이나 이것저것 다 안 될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럴수 있지만 아래 내용에서 windows11 wsl2 설치를 하는 것을 확인해보시면 생각이 많이 바뀌실 것 같습니다. 요즘 개발을 위해 리눅스를 많이 사용하는데 서버용이라면 메인 OS로 리눅스를 해도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보면 윈도우에 저장되어 있는 DB나 기타 저장 파일을 리눅스에도 다시 전송을 하거나 서버를 하나 열어서 공유를 한다거나 하는 프로세스 처리를 해야하는데 용량은 제한되어 있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10에서도 WSL2(리눅스용 원도우 하위시스템)이라는 방법으로 직접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