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셔너리 합치기 딕셔너리 합치는 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만 딕셔너리 특성상 key 가 같은 경우에는 덮어쓰기가 되니깐 그부분을 잘 조작하면 내가 원하는대로 딕셔너리를 다룰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 합치는 방법 2개의 딕셔너리를 합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update()라는 함수를 쓰면 됩니다. test1 = {'A':1,'B':2,'C':3} test2 = {'A':2,'D':4,'E':5} test1.update(test2) print(test1) 3개 이상일 때도 update를 이용해서 반복하면 됩니다. 한꺼번에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dict1 = {'a': 1, 'b': 2} dict2 = {'b': 3, 'c': 4} dict3 = {'d': 5} merged_dict = {**dict1, *..
데이터의 타입을 일일히 확인한다고? 파이썬은 객체니깐 type 함수를 쓰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데이터가 많으면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서 for문이나 while을 돌리고 있는데 예상치 못한 타입이 나온다면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때 물론 type()을 활용할 수 있지만 루프를 한다면isintance()를 쓰는 걸 추천드립니다. isinstance란?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언어로, 변수의 타입이 실행 시간(runtime)에 결정됩니다. isinstance 함수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객체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동적으로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isinstance 함수 개요 isinstance 함수는 객체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확인하는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