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안전모드 부팅안전모드 부팅은 간혹 바이러스 검사를 빡시게 할 때나 기타 문제가 생겼을 때 하곤 하는데요. 윈도우 버전이 올라갈수록 안전모드 들어가기 어렵게 해놔서 안전모드도 하는 방법을 찾아야할 판입니다. 다양한 방법이 많은데 그 중에서 가장 쉬운 2가지를 알려드립니다.시작 - 종료 이용하기시작에 있는 종료에 들어가 Shift+다시 시작을 누릅니다.재부팅이 시작되고 아래처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부팅창으로 넘어갑니다.문제해결 - 시작 설정 -다시 시작을 누르면 재부팅을 시작합니다.파란창에서는 무선 키보드나 마우스는 안 먹히니 유선으로 꼭 연결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재부팅이 되면 아래와 같이 모드를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Enable safe mode를 선택해서 안전모드로 넘어갑니다.시스템 구성..
윈도우 디펜스 발동 일부 프로그램은 윈도우 디펜스에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 실행을 못하게 합니다. 물론 진짜로 위험한 것도 있지만 위험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윈도우 디펜스가 옳은 건 아닙니다. 위협의 예방을 위해 프로그램 실행을 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꼭 실행시켜야 하는 프로그램이라면 해당 폴더나 실행파일을 윈도우 디펜스가 체크하지 않도록 스캐닝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제외폴더 만들기 스캐닝을 하지 않도록 하려면 제외해달라고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간단합니다. windows 보안 설정에 들어갑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에 들어갑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의 설정관리를 클릭합니다. 실시간 보호 기능이 꺼져있다면 켜주세요. 스크롤을..
WSL 인스톨 중에 다음과 같이 0x800701bc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건 별건 아니고 WSL2와 Linux 커널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Windows 기능에서 Linux 하위 시스템을 켜놨는데도 그러네요. WSL2 Linux Kernel Update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받아서 WSL 2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Linux 커널을 설치합니다. 아래링크로 WSL2 linux kernel update를 설치해주면 됩니다. 다운로드 링크: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WSL2 linux kernel update 설치하고 우분투 설치 시도를 다시 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wsl --insta..
메모리도둑 WSL 프로그램을 돌리다가 튕기면 갑자기 컴퓨터가 확 느려지는 걸 느낄 수 있는데 혹시 WSL을 사용하고 있다면 작업관리자에서 아래 그림처럼 어마무시하게 메모리를 잡아먹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WSL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서 내 눈에는 안보이지만 뒤에서 메모리를 갉아먹고 있어서 이를 모르고 작업을 하면 점점 느려지는 기현상이 벌어집니다. 작업관리자에서 작업끝내기를 눌러도 액세스 거부라는 오류가 뜨고 끝내지지도 않습니다. WSL을 끝내고 싶다면 powershell에서 해결을 봐야 합니다. WSL 강제종료 명령어 powershell에서 다음을 입력합니다. 특정 배포판만 강제종료 wsl -t wsl -t ubuntu 모든 wsl 종료 wsl --shutdown 명령을 친 후 다시 작업관리자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