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데이터 타입 중 set을 살펴볼까 합니다. set은 수학 시간에 배운 집합을 모티브로 만든 데이터 타입이라서 수학의 집합과 성질이 비슷합니다. 순서가 없고 한 원소만 set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복 원소가 있는 리스트를 set으로 바꾸면 중복원소가 없어집니다. s = set(['a','ab','c','cd','d','ab','cd']) s 집합 모양도 수학시간에 본 집합모양으로 나오게 됩니다.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대칭차도 가능합니다. 대칭차는 (A U B) - (A ∩ B) 를 의미합니다. 즉, 집합 A와 B에서 교집합만 빠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s = set(['a','ab','c','cd','d','ab','cd']) t = set(['a','b','c']) s.uni..
리스트와 튜플은 복수개의 값을 담는 데이터 구조를 말합니다. 실생활에서 쓰는 명단과 같은 의미입니다. 즉, 전학생 명단, 출석 명단 등등 한 주제 안에 모아진 것들을 의미합니다. 리스트는 생성된 후에 값 변경이 가능하고 튜플은 값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그런 이유로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를 정말 많이 씁니다. 무언가 데이터를 가져오면 대개 리스트 형식으로 가져오거나 리스트로 만들어서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튜플은 정말 변하면 안 되는 리스트를 설정할 때 씁니다. 그럼 튜플을 다루지 못하나 걱정하실 수도 있는데 다행히도 튜플을 리스트로 변경해서 쓸 수 있으니 데이터 다루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겁니다. 그래서 잘 쓰면 알고리즘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스트의 대한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