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데이터 타입 중 set을 살펴볼까 합니다. set은 수학 시간에 배운 집합을 모티브로 만든 데이터 타입이라서 수학의 집합과 성질이 비슷합니다. 순서가 없고 한 원소만 set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복 원소가 있는 리스트를 set으로 바꾸면 중복원소가 없어집니다. s = set(['a','ab','c','cd','d','ab','cd']) s 집합 모양도 수학시간에 본 집합모양으로 나오게 됩니다.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대칭차도 가능합니다. 대칭차는 (A U B) - (A ∩ B) 를 의미합니다. 즉, 집합 A와 B에서 교집합만 빠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s = set(['a','ab','c','cd','d','ab','cd']) t = set(['a','b','c']) s.u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