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이스케이프 문자

반응형
반응형

문자열 이스케이프

문자열을 다룰 때 특수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 이스케이프 문자라는 걸 사용합니다. 특수한 의미를 갖는 문자를 일반 문자처럼 쓰거나 줄바꿈을 하기 위해서 씁니다.

이스케이프의 뜻은 탈출이라는 뜻인데 말 뜻대로 문자열에서 탈출하거나 원래의 쓰임에서 탈출해서 일반 문자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쓰는 이스케이프 문자

사실 더 있지만 그나마 사용할만한 것만 소개하겠습니다. 그외의 것은 파이썬 책이나 파이썬 튜토리얼에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scape Meaning
\\ Backslash(stores one \ )
\' Single quote(stores ')
\" Double quot(stores '')
\f Formfeed
\n Newline(linefeed)
\r Carriage return
\t Horizontal tab

 

예제

위 표에 있는 내용을 하나씩 예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줄 바꿈과 탭 문자 사용
print("첫 번째 줄\n두 번째 줄")
print("탭 간격\t탭 사이")

# 역 슬래시 문자 표현
print("역 슬래시 자체 출력: \\")
print("이중 따옴표 표현: \"이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감싸져 있습니다.\"")
print("작은 따옴표 표현: '이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감싸져 있습니다.'")

Carriage return

Carriage return은 일반적으로 '\r'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 줄의 맨 앞으로 커서를 이동해 현재 줄의 내용을 덮어쓰는 역할을 합니다. 텍스트 파일이나 출력 조작을 위해 사용합니다.

print("Hello, world!", end="\r")
print("Goodbye, world!")

위의 예제처럼 Hello, world는 지워지고 Godbye, world! 로 채워졌습니다. 텍스트 출력 업데이트가 필요하거나 재사용할때 유용합니다.

Form feed

Form feed는 '\f'로 표현되는데 프린터나 텍스트 출력에서 페이지를 나누는데 사용됩니다.

print("첫 번째 페이지")
print("\f")  # Form feed를 출력하여 페이지를 나눕니다.
print("두 번째 페이지")

 

마치며

이스케이프 문자는 출력 명령이 많을 때 정말 유용합니다. 적재적소에 쓰면 코딩 양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목장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