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는 보통 구글 애드센스로 광고를 하게 되는데 나의 블로그글이 과연 얼마나 수익을 가져오는지 궁금하실텐데요. 더구나, 포스팅별로 할 수 있어서 내 수익이 어디서 오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하게도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URL 채널을 설정하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URL 채널 설정하기 URL 채널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아 합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 로그인을 하고 아래 그림처럼 햄버거 모양 - 보고서를 클릭합니다. 보고서의 오른쪽 끝에 있는 톱니바퀴를 눌러 URL 채널 관리를 클릭합니다. 채널추가를 눌러 제가 넣고 싶은 URL을 넣습니다. 추가를 할 때 티스토리를 사용하시는 분은 티스토리 api를 이용해 url을 가져..
파이썬으로 미분방정식 해 구하는 방법입니다. 수학적 증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코딩을 이용해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코딩이 할 줄만 알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numpy로 미분방정식을 구하는 걸 기대할 수 있으나 numpy는 행렬과 데이터 벡터화에 특화된 모듈이기 때문에 미분방정식의 해를 직접 구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행렬 형태로 이루어진 쟈코스키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나 가능합니다. 그렇다고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수학적 원리를 잘 모르더라도 파이썬으로 해를 구하실 수 있습니다. sympy를 이용한 미분방정식 해 구하기 sympy를 이용하면 미분방정식 해를 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sympy는 실제 수학처럼 변수를 지정이 가능하고 방정식을 인식을 하기 때문에 미분방정식..
내 블로그의 모든 포스트 제목을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티스토리에서 포스팅 주소는 url 주소가 번호나 제목이 입력되서 나옵니다. 숫자로 포스팅이 발행하는 경우 단순하게 맨 앞 숫자와 맨 뒷 숫자까지 하나씩 입력해서 가져오면 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블로그를 작성하다보면 본의 아니게 삭제하는 글도 생기기 때문에 번호가 누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목도 일일히 수동으로 가져오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기도 하죠.이럴 때 티스토리 api를 이용하면 굉장히 편하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만, 코딩을 조금 할 줄 알아야 합니다. 파이썬으로 포스팅 제목을 가져오는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티스토리 api가 신청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혹시 api 신청을 안했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기업에서 데이터 제공을 해주는 방식이 api라는 것인데 네이버는 api를 없앴지만 티스토리는 아직 api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api를 통해서 자신의 블로그 정보를 가져올 수 있고 자동글쓰기 같은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먼저 티스토리에 api 사용신청을 해야합니다. api 신청하기 다음 사이트를 가서 신청을 시작합니다. https://www.tistory.com/guide/api/manage/register TISTORY 나를 표현하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www.tistory.com 앱등록을 위해서 아래 그림처럼 자신에 맞게 써넣습니다. 서비스 URL에는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써넣으면 됩니다. 완료되었다면 등록을 누릅니다. 다음과 같이 앱 아이디/키를 받게 됩니다. 인증요청하기 이제 ..
수학기호 입력 사이트수학 기호를 입력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때 소프트웨어로 하면 좋겠지만 비용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물론 대학원에서 논문을 쓴다면 소프트웨어를 사거나 얻거나 대학원에서 주거나 해서 쓸 수 있는데 회사에서 또는 개인이 쓰려고 하면 비용이 들기 때문에 프리웨어인 제품을 찾을 수 밖에 없는데 찾아보니 있었습니다. http://www.sciweavers.org/free-online-latex-equation-editorhttp://www.hostmath.com/https://www.codecogs.com/latex/eqneditor.php sciweavers 나 hostmath 가 개인적으로는 편했습니다.sciweavers와 codecogs는 수식을 그림으로 받을 수 있어서 워드 작업을 할 때..
파이차트 안에 글자를 넣는 방법입니다. 사실 ggplot2로 하면 다 되긴 하는데 정교하게 만들고 싶다면 수학을 쓸 수 있다는 걸 보여드리고 싶어서 포스팅을 합니다. 약간 뻘짓이지만 이런 방법도 있다는 것도 구경 한 번 해보셨으면 합니다. 사실 시각화는 ppt로 만드는게 사실 제일 예쁘고 정밀하게 글자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코딩으로는 과도하게 그래프에 집착할 필요가 없습니다. ggplot2로 파이차트 안에 글자 넣기 먼저 간단한 방법은 ggplot2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원 안에 글자를 넣을 수 있습니다. geom_text()를 이용하면 됩니다. 파라미터는 aes와 position 파라미터를 채우는게 기본입니다. aes에는 글자로 만들 값을 넣어주고 poistion에는 글자를 넣을 위치..
파이차트는 범주형 변수에 대한 상대 도수를 원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보통 뉴스에서 통계로 퍼센트를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는 차트입니다. R에서 그릴 때 값만 작성해도 되지만 의미있는 시각화를 위해서는 라벨링을 해주어야 합니다. 즉, 반드시 필요한건 딱 두가지입니다. 값을 나타내는 수치형 변수와 값의 라벨링을 위한 범주형 변수가 필요합니다. 그 나머지는 옵션에 해당합니다. 기본 라이브러리로 파이차트 그리기 파이차트를 그리려면 R에 내장되어 있는 pie라는 함수를 쓰면 됩니다. v = c(23,15,5) k = c('1st','2nd','3nd') 먼저 값만 적용해보겠습니다. pie(x=v) 라벨을 벡터의 인덱스로 표시를 하게 됩니다. 큰 의미가 없는 시각화가 되고 맙니다. ..
barplot 함수는 x축의 범주 대비 수치형 데이터를 막대의 길이로써 시각화하는 막대그래프를 출력해주는 함수입니다. 히스토그램과 굉장히 유사하지만 다른 점이 있습니다. barplot과 히스토그램의 차이점 각 차이점은 크게 세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막대그래프 히스토그램 x축 값이 연속적이지 않아도 됨 연속적이고 분할 가능한 값만 적용가능 y축 각 값의 크기 계급의 도수(범위의 해당하는 변량수) 막대위치 막대가 떨어져있음 막대가 붙어있음 막대그래프 그리기 barplot함수의 파라미터는 히스토그램보다 적습니다. 주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height : 벡터 입력시 각 막대의 높이, 행렬 입력시 열의 개수 만큼 막대 생성, 행의 값의 누적이 막대의 높이 xlab : x축 제목 yla..
2차원 데이터의 컬럼 이름 가져오는 방법입니다. 직관적으로 가져오는 방법이 있고 attributes라는 함수를 거쳐 하나씩 불러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df를 만들겠습니다. class1 = c(100,45,80,75,30) class2 = c(70,80,60,50,40) class3 = c(40,50,60,70,80) class4 = c(10,25,100,70,35) class5 = c(60,55,55,45,35) df = data.frame('class1'=class1,'class2'=class2,'class3'=class3,'class4'=class4,'class5'=class5) df 다음과 같이 데이터프레임을 만들었습니다. 직관적 방법 직관적으로 데이터프레임에서 바로 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은 복구시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인증을 반드시 해야하는데 혹여 전화번호가 바뀌어 기존 전화번호가 없는경우 계정 복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전화번호가 바꼈다면 구글계정의 전화번호를 직접 설정에서 바꿔주어야 합니다. 구글 계정의 등록된 전화번호 변경하기 1. 계정 로그인 후 아래 그림과 같이 구글 계정을 눌러 설정창으로 들어갑니다. 2. 개인정보 - 휴대전화를 선택합니다. 3. 전화번호가 없었다면 지금추가를 눌러 전화번호를 입력합니다. 코드 받아 인증 후 완료됩니다 3-1. 등록된 전화번호가 있다면 업데이트할 전화번호를 클릭한 후 펜 모양을 누릅니다. 전화번호 업데이트를 눌러 전화번호를 바꾼 후 인증코드를 받습니다. 4. 인증이 완료되면 전화번호 업데이트가 완료됩니다.
R에서의 히스토그램 그리는 방법입니다. 옵션이 많지만 다 쓸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넣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주어진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hist(x, breaks = "Sturges", freq = NULL, probability = !freq, include.lowest = TRUE, right = TRUE, density = NULL, angle = 45, col = NULL, border = NULL, main = paste("Histogram of" , xname), xlim = range(breaks), ylim = NULL, xlab = xname, ylab, axes = TRUE, plot = TRUE, labels = FALSE, nclass = NULL, warn.unuse..
R에서의 plot 함수 사용법입니다. plot 함수를 이용해 산점도와 꺽은 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lot(y축 데이터,kwag**) plot(x축 데이터,y축 데이터,kwag**) 위 방식은 데카르트 방식이라고 부릅니다. x,y 데이터를 (x,y)좌표로써 인지하고 그에 맞게 점을 찍는 방식입니다. x,y 매칭은 값 순서대로 합니다. plot에 넣은 데이터가 하나(x or y)라면 자연스럽게 y축 데이터를 기준으로 넘어가고 x축에는 인덱스로 설정됩니다. # x만 plot에 넣은 경우 x = c(1,2,3) plot(x) # x,y을 plot에 넣은 경우 x = c(1,2,3) y = c(4,5,6) plot(x,y) 축 관련 옵션 plot()함수 내에서 제목이나 축..
seaborn color 팔레트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컬러맵을 직접 설정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는 이전에 포스팅으로 해놨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ython] heatmap 색상바꾸기(컬러맵 만들기) heatmap 글을 쓰다보니 양이 많아 포스팅을 새로 합니다. 데이터는 heatmap 그리기 포스팅에서 했던 예제를 그대로 쓰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numpy as np data =.. seong6496.tistory.com 개인적으로는 seaborn에 괜찮은게 많으니깐 전문가가 아니면 갖다쓰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팔레트 불러오기 먼저 seaborn에서 팔레트를 불러오려면 color_palette()..
matplotlib를 이용한 boxplot 그리는 방법입니다. boxplot에 나타내는 수치는 다섯가지로 다음 수치를 기반으로 그려집니다. 최소값 : 데이터의 0% 지점 제 1사분위 수(Q1) : 데이터의 25% 지점 제 2사분위 수 또는 중위수(Q2) : 데이터의 50% 지점 제 3사분위 수(Q3) : 데이터의 75% 지점 최대값 : 데이터의 100% 지점 이 값들로 그려진 boxplot에서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나열했을 때의 분포지점과 이상치를 알 수 있습니다. 이상치는 $ Q3+1.5*IQR $ 보다 크거나 $ Q1-1.5*IQR$ 보다 작은 수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IQR은 사분위수 범위로 Q3-Q1로 계산된 값입니다. 이상치로 판별된 데이터는 boxplot에서 점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matplo..
R에서 데이터를 tidy하게 다루게 해주는 패키지인 tidyverse 에 대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tidyverse 소개 tidyverse는 R에서 데이터분석을 한다면 무조건 써야하는 패키지입니다. 패키지로 되어 있어서 한번에 설치가 가능하고 데이터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데이터분석을 하기 좋은 툴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잘 정리된 테이블로 나오게 하거나 시각화를 위한 도구들을 한꺼번에 모아놓았습니다. rstudio의 해들리 위캠 박사의 팀이 개발한 패키지이고 대표적으로 ggplot2, dplyr, tidyr, readr, purrr,tibble,stringr,forcats 이 있습니다. "기본 디자인 철학, 문법, 데이터구조의 공유"하는 tidy data를 추구하기 때문에 dataf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