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차 다항식 보간의 함정: Runge 현상 이해하기다항식 보간법은 수치해석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법 중 하나입니다. 주어진 데이터 점들을 통과하는 다항식을 찾아 미지의 값을 추정하는 이 방법은 언뜻 보기에는 완벽해 보입니다. 더 많은 점을 사용할수록, 즉 더 높은 차수의 다항식을 사용할수록 더 정확할 것 같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Runge 현상이란?Runge 현상(Runge's Phenomenon)은 1901년 독일 수학자 Carl David Tolmé Runge가 발견한 현상으로, 고차 다항식 보간에서 구간의 경계 근처에서 진동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를 말합니다.간단히 말해, 데이터 점의 개수를 늘려 더 높은 차수의 다항식을 만들면 오히려 보간 결과가 나빠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Numpy 차원 이해하기일전에 Numpy 축에 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 그보다 더 개념적인 얘기를 할까 합니다.Numpy는 다차원 배열을 다루는만큼 수치계산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율적인 라이브러리입니다. Numpy는 다차원 배열을 차원으로 분류했는데 데이터 구조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Numpy 차원 정의차원의 종류Numpy에서 차원은 축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는 보통 3차원을 쓰기 때문에 그렇기도 한데요. 엄밀히 따지면 차원과 축은 포커싱된 부분이 다릅니다. 차원은 깊이에 더 포커싱이 되어있습니다. 차원은 배열의 층이 얼마나 되는지를 정의합니다. 축은 데이터가 나아가는 방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차원내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다룰것인지를 정의합니다.다시말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