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사용시 간단한 팁입니다. 내가 분명 뭔가를 저장한 것 같은데 어디에 뒀는지 알지못할 때 탐색기에서 검색하기도 애매하고 파일이름이 뭔지도 모르겠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로 최신 수정된 날짜로 찾는 방법으로 찾으면 내가 최신에 저장한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Win키+E)에 들어가면 홈검색이 있을 겁니다. 여기에 수정한날짜: 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최근 수정한 날짜 순으로 나오게 됩니다. 특정 날짜로 검색하고 싶다면 옆에 일자를 쓰면 됩니다. 검색옵션 활용 수정한날짜: 를 입력한 후 탐색기 위해 검색 옵션이 나옵니다. 수정한 날짜에 오늘, 한달전, 작년 등을 검색할 수 있고 파일종류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나날이 좋아지는 윈도우입니다.
리눅스에서 파이썬 qt designer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에서는 qt designer.exe 찾으면 그만이지만 리눅스는 그게 자연스러운건 아니니 터미널에서 실행을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pyqt5만 설치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안되고 몇가지를 더 설치해야합니다. terminal에서 다음의 커맨드들을 입력합니다. pip3 install pyqt5 sudo apt install python3-pyqt5 sudo apt install pyqt5-dev-tools sudo apt install qttools5-dev-tools 설치가 잘 되었다면 다음 designer 커맨드를 입력하면 GUI가 뜨게 됩니다. designer 아래 그림과 같이 qt desinger화면이 나옵니다. 이제 좀 더 편하게 코딩을 ..
메모리도둑 WSL 프로그램을 돌리다가 튕기면 갑자기 컴퓨터가 확 느려지는 걸 느낄 수 있는데 혹시 WSL을 사용하고 있다면 작업관리자에서 아래 그림처럼 어마무시하게 메모리를 잡아먹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WSL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서 내 눈에는 안보이지만 뒤에서 메모리를 갉아먹고 있어서 이를 모르고 작업을 하면 점점 느려지는 기현상이 벌어집니다. 작업관리자에서 작업끝내기를 눌러도 액세스 거부라는 오류가 뜨고 끝내지지도 않습니다. WSL을 끝내고 싶다면 powershell에서 해결을 봐야 합니다. WSL 강제종료 명령어 powershell에서 다음을 입력합니다. 특정 배포판만 강제종료 wsl -t wsl -t ubuntu 모든 wsl 종료 wsl --shutdown 명령을 친 후 다시 작업관리자에 가..
yum은 리눅스 red hat 계열에서 주로 쓰는 설치툴인데 설치 순서가 있어서 포스팅해놓습니다. 혹시 설치 중에 unable to locate package가 뜬다면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우분투] unable to locate package 해결방법 yum 설치 다짜고짜 sudo apt yum install을 시전하면 아래 4개를 설치하라고 뜹니다. 이걸 순서대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python-lzma sudo apt install python-sqlitecachec sudo apt install python-pycurl sudo apt install python-urlgrabber 순서대로 설치하는게 관건! 위의 것을 모두 설치한 후 yum을 설치합니다. sudo ap..
리눅스 한글 언어팩을 설치하라고 했더니 unable to locate package 가 떴습니다. 다른 것도 해보니 안 되더군요. 찾아보니 우분투에서는 package 형태는 못 받게 되어있는게 디폴트값인 것 같습니다. 설정을 따로 해야 합니다. 해결방법 터미널에서 /etc/apt/ 으로 이동합니다. 실수하면... 골치아파지니까 백업을 해놓고 시작합니다. cd /etc/apt/ sudo cp sources.list sources.list.back #백업 vi 로 sources.list를 켭니다. sudo vi sources.list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deb..
vi 편집기는 리눅스 초기부터 존재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어 모드와 편집 모드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모드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리눅스 설치시 같이 설치되기 때문에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도 늘 예외가 있으니 설치 명령어를 적어놓겠습니다. 아래 설치는 기본 vi보다는 약간 개선된 버전입니다. 기본 vi가 너무 불편하다면 설치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vim vi 편집기 모드 정리 vi는 명령어 모드와 편집모드로 나뉩니다. 키보드만 사용하므로 적극적으로 편집은 할 수 없고 명령을 내리면 컴퓨터가 실행하는 형식으로 약간은 답답한 형태로 움직입니다. 명령어 모드(Comma..
원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사용하면 윈도우와 리눅스 간의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즉, 윈도우의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WSL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교류가 가능한데 여태 사용방법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아래는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파이썬에서 윈도우의 C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불러오는 예시 코드입니다. # 윈도우의 C 드라이브 경로를 WSL에서 사용 가능한 경로로 변경합니다. file_path = "/mnt/c/path/to/your/file.txt" 위 코드에서 /mnt/c는 윈도우의 C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path/to/your/file.txt 부분에 불러올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WSL에서 윈도우 파일을 수정할 경우 해당 ..
ppt 작업을 하면 그림 배경이 투명하지 않아서 이쁘게 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안에 그림은 괜찮은데 외부에서 가져오는 경우 보통 배경색이 하얀색이어서 그림을 중첩시킬 경우 조화롭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했는지 모르겠지만 파워포인트에서 그림 배경을 투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다 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번쯤은 시도해볼만하다고 봅니다. 그림 배경 투명하게 만들기 아래 그림과 같이 파란 네모에 그림을 넣습니다. 그림의 배경색이 하얀색이어서 파란 네모가 하얀색으로 덮여집니다. 하얀색 배경색을 투명색으로 만들기 위해서 그림 선택 - 서식 - 색 을 클릭합니다. 색에서 맨 밑에 가면 투명한 색 설정이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마우스포인터가 바뀌는데 마우스를 배경색에 갖다놓고 클릭하면 투명색으로 ..
엑셀을 쓰다보면 문서 보안을 위해서 암호를 설정합니다. 반면에, 공유를 위해서는 암호를 공유하거나 암호를 풀어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어디서 하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기억할겸 공유합니다. 엑셀 파일 암호 설정,해제하는 방법입니다. 엑셀파일의 암호를 안다는 전제하에 설명합니다. 암호를 잊어버렸다면 파일조차 열수 없어서 진행이 불가합니다. 엑셀 암호설정하기 암호설정하는 곳은 파일 - 정보를 누르면 통합 문서 보호와 화살표가 보입니다. 통합 문서 보호를 눌러 암호설정을 클릭합니다. 암호를 입력창이 뜨면 앞으로 쓸 암호를 입력해주고 암호확인에서 한번더 암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통합 문서 보호의 문구가 바뀝니다. 암호가 생긴 것입니다. 파일저장을 해야 앞으로 암호설정이 완료되니 꼭 기억하시기 바랍..
리눅스 계열에서 압축파일을 다루는 명령어를 정리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tar,tar.gz, zip 에 대한 명령어입니다. 압축하기 tar 명령어 옵션의 조합으로 압축을 만들라는 명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압축에 필요한 tar 명령어 옵션 -c : compress,tar 아카이브 생성(기존 아카이브 존재시 덮어쓰기) -v : 처리되는 과정 출력 -f : 파일 이름을 지정 -z : gzip으로 압축,해제 cvf 를 이용해 tar로 만들고 z를 더해 gzip 형식으로 압축이 됩니다. tar 압축 tar -cvf # Example tar -cvf test.tar folder 압축파일명은 다르게 해도 됩니다. tar.gz 압축 tar -zcvf # EXAMPLE tar -zcvf test.tar.gz folde..
보안을 위해 폴더를 잠금하고 싶을 때가 있을텐데요. 윈도우 내에서는 Pro 버전에서만 된다고 합니다. Home 버전에서는 폴더 잠금 기능을 쓸 수 없을텐데요. 다행히도 잠금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있어 폴더 잠금을 프로그램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Pro 버전인경우 윈도우 Pro 버전이라면 탐색기에서 바로 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에서 암호를 걸어야 하는 폴더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속성 - 일반 - 고급-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를 체크해서 암호를 만들고 끝을 냅니다. 윈도우 HOME 버전은 지원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wise folder hider) Home 버전에서는 사실상 폴더 잠금 방법이 없는거나 다름 없습니다. 물론 프로그램 언어를 써서 할 수 있지만 진입장벽이 있습니..
우분투에서 chrome 설치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 설치 파일을 받은 후에 설치를 하면 됩니다. wget으로 파일을 받아야 하는데 파일 경로는 아래 내용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설치파일 받기 파일 버전을 따로 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아서 최신버전 파일이 받아집니다. 최신버전으로 해야 보안상 안전하므로 최신버전으로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크롬 드라이버 때문에 버전을 고집할 수 있는데 자동으로 맞춰주는 툴이 있으므로 그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크롬 드라이버를 설치없이 자동으로 맞춰주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이썬] chorme-driver 설치 안하고 사용하기 [파이썬] chorme-driver 설치 안하고 사용하기 파이썬에서 크롬 브라우저 컨트롤을 하기 원한다면 즉, chro..
보통 리눅스를 VM이나 기타 장치를 이용해 가상 드라이브를 만들어서 설치를 했었는데요. 윈도우 11이 되면서 WSL을 이용해 간단히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설치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windows11 WSL2 리눅스 한번에 설치 windows11 WSL2 리눅스 한번에 설치 윈도우 11 업데이트가 가능해졌습니다. 윈도우10에서 윈도우 11로 옮기면 호환이나 이것저것 다 안 될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럴수 있지만 아래 내용에서 windows11 wsl2 seong6496.tistory.com 리눅스를 윈도우에 설치하면서 할 수 있는 작업중에 가장 편한 것이 바로 파일전송입니다. scp를 이용해 파일전송을 했었는데 이제는 윈도우 탐색기에서 간단..
여러 노트앱이 있지만 그 중에 하나인 onenote for windows 10은 운영체제가 윈도우라면 누구나 설치되어있는 노트 프로그램입니다. 무료면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다른 노트앱과는 다르게 글 정리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어서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onenote for window10 은 한글 씹힘 버그가 나타납니다. 노트를 한글로 치다보면 글을 쓰고 있는데 지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써진 글씨위에 다시 써지는 씹힘 현상이 나타납니다. 원드라이브를 이용하면서 원노트를 쓰면 다른 기계에서 동기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함이 많습니다. 다른걸로 바꿀수도 있지만 저는 너무나도 만족하고 있어서 원노트를 포기할 수가 없네요 ㅜ 혹시 저처럼 한글 씹힘 현상 때문에 맘고생(?)을 하고 있다면 해결방법을..
CLI 환경에서 Ubuntu 버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Ubuntu 에서는 버전마다 호환가능한 패키지가 있으므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버전 확인을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에 맞는 설치방법을 할 수 있으니깐요. 그렇지만 자주 안 써서 까먹는 명령어 중에 하나이므로 아래 내용에서 Ubuntu 버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시고 자신에 맞는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etc/issue /etc/issue에는 우분투 시스템 식별 세부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cat 명령을 통해 파일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cat /etc/issue lsb_release -a 모든 버전의 Ubuntu에서 작동하는 방법으로 Linux Standard Base(LSB)정보를 보여줍니다. /etc/issue 보다는 자세한 정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